티스토리 뷰

자동차

폭스바겐, 구조조정 진통 속 주가 하락세 겪는 배경

수입차 프로모션 할인 최신 비공개 정보 & 견적 비교 2025. 10. 15. 21:07
반응형

수익성 악화와 거대 조직의 부담

유럽 최대 자동차 제조사인 폭스바겐이 경영난 타개를 위해 독일 내 공장 폐쇄와 고강도 구조조정을 검토하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폭스바겐 경영진은 경쟁사인 도요타보다 30만 명 이상 많은 68만 명에 달하는 임직원 인건비가 수익성 악화의 주요 원인이라며 구조조정의 불가피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지난해 말 기준 폭스바겐의 전 세계 임직원 수는 68만 4025명으로, 이 중 약 43.7%인 29만여 명이 독일에 근무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노사 간 합의된 고용안정협약에 따라 2029년까지 고용이 보장되어 있어, 경영진은 이러한 고용안정협약을 폐기하고 독일 내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입니다.

공장 폐쇄 검토와 주가 급락

이러한 구조조정 움직임은 폭스바겐 주가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최근 폭스바겐 주가는 독일 내 공장 폐쇄 검토 소식이 전해진 이후 100유로 아래로 하락했으며, 연초 대비 16% 가까이 하락하는 등 좀처럼 반등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시가총액 면에서도 글로벌 자동차 판매 1위 기업인 도요타와의 격차가 크게 벌어진 상황입니다. 지난해 도요타가 1123만 대의 차량을 판매한 반면, 폭스바겐은 924만 대를 판매했음에도 불구하고 시가총액은 도요타의 약 5분의 1 수준에 머물고 있습니다. 이는 폭스바겐의 수익성 악화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올해 2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감소했으며 영업이익률 역시 하락했습니다.

독일 정부의 개입과 구조조정의 난항

폭스바겐 경영진이 제시한 강도 높은 구조조정안은 독일 정부의 개입 가능성으로 인해 순탄하게 진행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됩니다. 폭스바겐은 1960년에 제정된 '폭스바겐법'에 따라 주주총회 의결 정족수가 80%로 높고, 20% 이상 지분을 가진 대주주의 의결권도 20%로 제한되어 있어 구조조정 추진에 제약이 따릅니다. 특히 폭스바겐의 2대 주주인 니더작센 주 정부는 20.2%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만약 주 정부가 구조조정 및 공장 폐쇄에 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시행이 어려워집니다. 또한, 회사 내부에는 사측과 노조 위원이 동수로 참여하는 감독위원회가 주요 결정 사항에 대해 3분의 2 이상의 찬성을 얻어야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이 있습니다. 독일 경제·기후보호부 장관과 노동부 장관 역시 공장 폐쇄와 해고는 피해야 한다며 정부 차원의 반대 입장을 전했습니다. 전문가들은 폭스바겐의 지배구조가 사실상 국영기업에 가깝다고 평가하며, 독일 정부와 니더작센 주 정부의 반발을 무릅쓰고 구조조정안을 관철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기차 보조금 재개와 경영난 완화 기대

이러한 상황 속에서 독일 정부는 전기차 판매를 지원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난해 11월 폐지되었던 전기차 세액공제 제도를 재개하기로 했습니다. 올해 7월부터 2028년 12월까지 구입하는 전기차에 세액공제가 적용될 예정이며, 이를 통해 내년에만 5억 8000만 유로의 세금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세액공제 종료 이후 급격히 줄어들었던 전기차 구매 열기가 다시 살아난다면, 이는 폭스바겐의 경영난 해소에 일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이러한 정부의 지원책이 복잡한 지배구조와 노사 갈등 속에서 폭스바겐의 근본적인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부분입니다.

반응형

© 2025 All Rights Reserved.